✅ 1. ROIC (투하자본수익률)
"기업이 투자받은 자본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내는가?"
📌 쉬운 정의
- ROIC는 기업이 외부에서 조달한 자본(자기자본 + 타인자본)을 얼마나 잘 활용해 수익을 내는지 보여주는 지표예요.
- 공식: ROIC = NOPAT / 투하자본
✅ 왜 신뢰할 수 있나요?
- 회계 장난이 거의 통하지 않아요.
단순 순이익 대신 영업성과 중심인 NOPAT을 사용해, 회계적 착시를 줄입니다. - ROE보다 더 정밀합니다.
ROE는 부채를 늘려도 높아질 수 있지만, ROIC는 그렇지 않아요.
진짜 '경영 효율성'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. - 경제적 해자를 가진 기업일수록 ROIC가 꾸준히 높습니다.
버핏도 ROIC가 높은 기업을 선호해요. 자본을 ‘잘 굴리는’ 기업이기 때문입니다.
💼 실전 사례 – 애플(Apple)
- 최근 ROIC: 약 30% 이상
- 소프트웨어 + 하드웨어 통합 전략으로 고수익 구조 구축
- 고객이 쉽게 이탈하지 않는 생태계 → 높은 수익성 → 높은 ROIC 유지
✅ 2. FCF Yield (자유현금흐름 수익률)
"이 회사는 진짜로 돈을 잘 벌고 있나?"
📌 쉬운 정의
- FCF Yield는 기업이 벌어들이는 실제 현금(FCF)을 주가 대비 얼마나 잘 창출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.
- 공식: FCF Yield = FCF / 시가총액
✅ 왜 신뢰할 수 있나요?
- 순이익보다 더 현실적인 지표입니다.
이익은 회계적으로 조작되거나 왜곡될 수 있지만, 현금 흐름은 거짓말을 하지 않아요. - 투자 이후 기업의 생존력과 배당 여력 판단에 필수입니다.
- 워렌 버핏도 투자 기업의 자유현금흐름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고 했어요.
💼 실전 사례 – 포스코홀딩스
- 최근 FCF Yield: 약 6~7%
- 철강 사업 외에도 2차전지 소재, 수소환원 제철 등 고정 지출이 큰 산업임에도
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지속적으로 창출 - 배당금 유지, 신사업 투자까지 가능한 구조
✅ 3. PER (주가수익비율)
"지금 이 회사 주가, 수익에 비해 과연 비싼 걸까?"
📌 쉬운 정의
- PER은 기업의 수익 대비 현재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.
- 공식: PER = 주가 / 주당순이익(EPS)
✅ 왜 신뢰할 수 있나요?
- 모든 투자자와 애널리스트가 가장 기본적으로 보는 지표예요.
- 기업 간, 산업 간 비교가 용이하고, 시장 평균과 비교하기에도 적절합니다.
- 역사적 PER 평균과 비교하면, 해당 기업이 저평가 or 고평가인지 쉽게 파악 가능
💼 실전 사례 – 삼성전자
- 2024년 예상 PER: 약 11~12배
- 글로벌 경쟁사 대비 저렴한 편
- 과거 평균 PER이 14~15배였던 점을 고려하면, 현재는 상대적 저평가 구간
✅ 4. 부채비율 (Debt-to-Equity Ratio)
"이 기업은 위기 상황에서 버틸 수 있을까?"
📌 쉬운 정의
- 부채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기업의 부채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- 공식: 부채비율 = 총부채 / 자기자본
✅ 왜 신뢰할 수 있나요?
- 재무 구조가 탄탄한지 확인하는 핵심 지표예요.
특히 금리 상승기엔 이자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저부채 기업이 유리합니다. - 워렌 버핏은 부채가 많은 기업을 철저히 경계합니다.
위기에서 무너지는 기업의 공통점은 ‘높은 부채’이기 때문이죠.
💼 실전 사례 – 현대차
- 부채비율: 약 120%
- 자동차 제조업이라는 자본 집약적 산업에서 비교적 건전한 재무구조
- 코로나, 반도체 공급난 등의 위기 속에서도 지속적인 수익 회복
✅ 5. 버핏 지수 (Market Cap to GDP)
"지금 주식시장 전체가 과열된 상태인가?"
📌 쉬운 정의
- 버핏 지수는 국가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을 해당 국가의 명목 GDP로 나눈 값입니다.
- 공식: 버핏 지수 = 시가총액 / 명목 GDP × 100
✅ 왜 신뢰할 수 있나요?
- 워렌 버핏이 “시장이 고평가됐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”라고 말했어요.
- 시장 전반의 밸류에이션 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,
여러 차례 금융위기 전조로 기능한 바 있습니다. - 실제 시장 고점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는 시기들이 여러 번 있습니다.
(예: 닷컴버블, 코로나 직전, 2021년 기술주 과열기)
💼 실전 사례 – 미국 (2021년 기준)
- 버핏 지수: 약 200% 초과
- 이후 S&P500, 나스닥 등 미국 지수 대폭 하락
- 시장 전체가 과열된 상태였음을 사전에 알 수 있었던 결정적 신호
📊 한눈에 보기 – 신뢰할 수 있는 5대 지표 요약표
지표 의미 신뢰 이유 실제 사례
ROIC | 자본 대비 수익 창출 능력 | 회계 왜곡 적고, 자본 효율 파악 | 애플: 30% 이상 |
FCF Yield | 주가 대비 실제 현금창출력 | 회계 장난 피할 수 있는 지표 | 포스코: 6~7% |
PER | 주가 대비 수익성 | 시장 평균과 비교 가능, 가장 보편적 | 삼성전자: 11~12배 |
부채비율 | 재무 건전성 | 위기 회복력 판단 핵심 | 현대차: 120% |
버핏지수 | 시장 전체 고평가 여부 | 시장 위기 시점과 일치 | 미국: 2021년 200% 초과 후 하락 |
✍️ 마무리: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투자 생존력을 만든다
많은 사람들이 단기 차트나 뉴스에 흔들리지만,
진짜 투자자는 숫자를 읽고 냉정하게 판단합니다.
그 중심엔 바로 이 다섯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.
✅ “좋은 기업은 위기에도 무너지지 않고,
적절한 가격에 사면 결국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줍니다.” – 워렌 버핏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✅ 기업 분석 기반 투자 보고서 2편 : 알테오젠, 리가켐바이오, 파마리서치, 지아이이노베이션, 삼천당제약, 온코닉테라퓨틱스 (7) | 2025.07.15 |
---|---|
✅ 기업 분석 기반 투자 보고서 1편 : 한화, 삼성물산, DL이앤씨, S-OIL (5) | 2025.07.14 |
내재가치 추정을 위한 재무지표 3/3 (6) | 2025.07.13 |
내재가치 추정을 위한 재무지표 2/3 (5) | 2025.07.13 |
내재가치 추정을 위한 재무지표 20가지 1/3 (3) | 2025.07.12 |